
운동요법
지상에 존재하는 모든 구조물은 구조학적으로 사용목적에 따라 편리하고 안전도가 높게 만들어지기 마련이다. 자연계에 서식하는 동물들도 그들의 생태에 따라 안전하고 환경에 쉽게 적응할 수 있도록 형태가 진화되었고 발달하여 왔다. 그렇지 못한 동물들은 환경적응에 실패하여 공룡과 같이 오래 전에 멸종되고 말았다. 그런데 사람의 몸 구조는 다른 사족(四足)동물에 비해 구조학적으로 안전도가 지극히 낮은 취약점을 지니고 있다. 일반 사족동물은 4개의 다리가 안전한 기둥역할을 하고 척추는 네 기둥을 지탱해주는 건물의 대들보 역할을 하는데 반해 사람은 두발로 걸어다니기 때문에 척추가 건물의 기둥 역할을 한다. 이러한 신체적 불균형은 머리와 상체의 무게를 척추가 지탱해야 하기 때문에 육체적으로나 정신적으로 많은 질병의 원인이 되고 있다. 불완전한 건강의 원천적 요인이 되고 있는 신체의 불균형은 올바른 몸매 가꾸기를 통해서 바로 잡을 수 있으며, 이로 인한 질병도 어느 정도 극복이 가능하다.
왜곡된 체위를 바로잡는 정체(整體)요법
현대인들은 과거에 비해 걷는 시간도 많이 줄어들었고, 운동부족으로 인해 근육의 탄력이 약해짐에 따라 척추가 기울어지고 많은 압박을 받고 있다. 척추 사이는 눌려서 좁아지고 마디마디의 구성요소인 힘줄과 근, 근육에는 많은 무리가 가해져 통증이나 염증이 생겨나며, 신경이나 다른 장기에 영향을 주어 각종 질병을 일으키고 있다. 목이나 허리는 디스크라는 증상으로 느껴질 수 있지만, 심장, 위, 폐, 콩팥 등의 내장신경은 쉽게 느낄 수 없기 때문에 이로 인해 위장병이나 간, 심장 등의 질환이 생기게 된다. 따라서 몸매를 가꾸는 것, 즉 운동요법을 통한 체위(體位)교정은 이러한 현대의 질병을 고치는데 상당한 도움이 된다.
인체의 구조적 문제를 교정하고 왜곡된 체위를 바로잡는 정체(整體)요법으로는 크게 6가지가 있다. 가장 기본적으로 잠잘 때 딱딱한 침상에서 자는 평상침대법과 나무를 둘로 쪼갠 반달 모양의 목침 베개를 사용하는 경침법, 두 손을 목 뒤로 깍지낀 채로 팔꿈치는 바닥에 닿게 하고 머리가 약간 들릴 정도로 목덜미를 들어준 채 붕어가 헤엄치듯 몸을 좌우로 흔들어 주는 붕어운동, 누운 자세에서 팔다리를 척추에 대해 직각으로 세우고 가볍게 떨어 주어 모세혈관의 혈행을 촉진하는 모관운동, 누운 상태에서 손바닥과 발바닥을 맞대고 합장한 손을 머리 위로 밀었다가 다시 가슴까지 당기고 다시 머리위로 밀기를 반복하는 합장 합서, 무릎을 꿇고 몸을 바르게 세워 좌우로 흔들면서 몸이 중앙에 올 때는 배를 들이밀고 좌우로 기울 때에는 배를 내미는 동작을 반복하는 등배(배복)운동 등이 있다.
이러한 정체요법은 잠자기 전이나 잠자리에서 일어나기 전에 하는 10분 미만의 운동요법으로 매일 반복하게 되면 하루의 활동으로 무리가 온 척추를 풀어줄 수 있으며, 처음에는 느끼지 못하지만 꾸준히 하게 되면 몸매를 교정하고 체력을 가꾸는데 확실한 효과를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