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정서조절요법

 

동물은 본능에 의해 존재하며, 오감에 의한 감각적인 욕구 충족을 위한 삶을 영위하기 때문에 순간적인 긴장이나 감정의 동요가 있기는 하지만 지속적인 스트레스의 축적현상은 없다. 반면 인간은 오감과 더불어 이성에 의하여 생각하고 판단하여 행동하며, 결과에 대한 비판과 책임을 져야하기 때문에 많은 스트레스를 받고, 그 스트레스는 기억 속에 축적되어 스트레스의 강도를 높이거나 또 다른 스트레스의 원인이 되고 있다. 그 외에도 인간은 살아가면서 의식주의 생활환경 변화나 다양한 사회생활을 경험하면서 다른 동물들보다 훨씬 많은 스트레스를 받게 된다.

 

인간이 이성에 의하여 살아간다는 것은 정서 관리적 측면에서 건강을 지키기에 많은 취약점을 안고 있으며, 많은 부분은 이러한 스트레스에 의한 정서의 조화가 파괴되어 각종 질병을 일으킨다고 볼 수 있다. 한의학에서는 희(喜-기쁨), 노(怒-노여움), 우사(憂思-염려와 걱정), 비(悲-슬픔), 공경(恐驚-두려움과 놀라움)의 칠정(七情)을 오장육부와 연관시켜 감정과 의지의 변동으로 병이 생긴다는 칠정상(七情傷)의 설이 제기되고 있고, 현대의학에서도 대부분의 질병이 스트레스에 의한 것이라고 진단하고 있다. 그러므로 감정조절이나 정서 관리는 현대인의 건강에 절대적인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각종 질병을 효과적으로 극복하기 위해서는 정서조절을 통해 자연치유력을 높이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기쁨-심(心), 노여움-간(肝), 염려.걱정-비(脾), 슬픔-폐(肺), 두려움.놀라움-신(腎) 의 칠정 중 특정한 감정이 치우쳐 나타나거나 억제되면 장부(贓腑)의 질병을 유발하게 되므로 오장의 기능이 원활하게 되고 건강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 칠정이 조화된 상태가 되도록 해야 한다. 정서조절을 위한 임상기법으로는 한방에서 많이 활용하는 침구요법, 우리의 신체기관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생활속의 색깔을 이용해 정서를 조절하는 색채요법, 소리나 음악을 통해 감정을 조절하는 음악요법, 자연에 존재하는 식물의 향기를 이용해 치료와 정서를 조절하는 향기요법(아로마요법), 심리적인 정서를 안정시키는 대화요법 등이 있다. 그 외에도 자아를 깨뜨리는 극기를 통한 정서조절요법, 생활의 조절을 통한 정서함양, 암시를 통한 조절요법, 명상이나 종교적 활동을 통한 요법 등 다양한 정서조절 방법이 있다. 정서적인 변화는 개인이 처한 상황 속에서 매우 다양하게 일어나기 때문에 자신에게 적절한 정서요법을 찾아서 꾸준히 실행하여 칠정이 조화를 이루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 정서조절의 기본이 되는 정신집중과 호흡조절법

의자에 앉아 두 발을 어깨 너비로 벌린다. 무릎 위에 두 손을 올리고, 손가락들을 가지런히 붙이고 손바닥이 위를 향하게 한다. 동시에 혀를 입천장에 붙이고 마음을 가라앉힌다. 우선 심신의 긴장을 완전히 풀고서 자연에 몸을 맡기는 이완상태에 들어간다. 눈을 감으면 처음에는 여러 생각이 번갈아 떠오르는데, 의식적으로 지우면서 가늘고 길게, 그리고 호흡 수가 줄어들게 복식호흡을 계속한다. 정좌하는 시간은 20∼40분간이 좋다. 매일 이런 연습을 한두 차례씩 시행하여 3개월가량 계속하면 평온하면서도 가늘고 긴 호흡을 단련하게 된다. 나중에는 호흡자체를 잊어버리는 상태에 들어가게 된다. 이때부터 정좌의 효과가 나타난다. 의자가 싫은 사람은 평좌(平坐반좌)를 취하고 행하여도 무방하다.

Contact Us:

(주)굿썸 / 대전시 중구 계룡로 816번길 32-4 (오류동) / 대표이사 김진대 / Tel. (042) 933-4605 / Fax (042) 933-4604

사업자등록번호 : 314-81-77635  /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

Copyrightⓒ2005 Goodsome Co., Ltd. All right reserved.

bottom of page